본문 바로가기
IT 정보

한글(HWP) 문서를 워드(Word)로 변환할 때 깨지는 문제, 그 원인과 해결 전략

by 안출근 2025. 6. 12.
반응형

한글로 작성한 문서를 Word로 변환하면 문장이 밀리거나 표가 틀어지고, 글머리표가 꼬이거나 줄 간격이 달라지는 일이 생각보다 자주 발생합니다. 단순히 포맷만 바꿨을 뿐인데 문서의 형태가 무너지는 현상, 그 원인은 단순하지 않습니다.

공공기관 제출 문서, 협업용 파일, 또는 해외 고객과의 계약 자료 등에서 이러한 깨짐 현상은 작업 신뢰도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한글과 워드는 문서 구조 자체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변환'이라는 행위는 단순 저장 이상의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HWP → Word 변환 시 자주 발생하는 문제 유형

1. 글꼴/폰트 호환성 문제

  • 한글 전용 글꼴(예: 함초롬바탕, HY견고딕 등)은 Word에서 자동 대체되며, 문단 정렬과 글자 간격이 달라집니다.

2. 표와 셀 병합 깨짐

  • 셀 병합 기준이나 셀 안 여백 설정이 다르기 때문에, Word에서 표 모양이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3. 탭 간격, 문단 간격 오차

  • 한글은 문자 단위, Word는 포인트 단위로 간격을 계산하기 때문에 미세한 어긋남이 누적되어 전체 구조가 틀어집니다.

4. 글머리표 및 번호 매기기 오류

  • HWP 고유 스타일의 글머리 기호는 Word에서 인식되지 않거나, 순서나 들여쓰기가 꼬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5. 도형, 캡션, 텍스트 상자 깨짐

  • 텍스트 상자의 기준점이 다르고, 도형 스타일도 호환되지 않아 위치가 뒤틀리거나 텍스트가 잘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실전 예시: 변환 전후 비교 사례

다음은 실제 변환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예시입니다:

  • 표 병합 예시: HWP에서는 완벽하게 정렬된 표가 Word에서는 병합 셀이 분리되어 보임
  • 글머리표 예시: 숫자 자동 정렬이 Word에서 기호로 바뀌면서 들여쓰기가 깨짐
  • 텍스트 상자 예시: 위치가 아래로 밀리거나 글이 잘려 출력됨

이러한 현상을 사전에 인지하면, 문서를 변환하기 전에 어떤 부분을 점검해야 할지 명확해집니다.

 

 

 
 

 

 

실무 문서 유형별 대응 전략

변환 대상주의 포인트대응 전략

이력서 표 병합 줄이기 Word용 템플릿 사용 또는 표 재구성
공문 글머리표 통일 기본 기호만 사용, 들여쓰기 재정렬
PPT용 원고 도형 위치 고정 텍스트 상자 대신 이미지로 대체
외부 보고서 전체 서식 통일 글꼴/간격/정렬 사전 세팅 필수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일까?

1. 포맷 구조 자체가 다르다

  • HWP는 자체 엔진 기반 서식 체계이고, DOCX는 XML 기반의 스타일 트리 구조로 작동합니다. 구조가 완전히 다르므로 1:1 매핑이 되지 않습니다.

2. 변환 엔진의 한계

  • 대부분의 변환은 한글 프로그램 내 '다른 이름으로 저장 > 워드' 기능을 사용하는데, 이는 내부적으로 단순 텍스트와 스타일만 옮기는 수준에 불과합니다.

3. 서식 사용자의 습관적 문제

  • 문단 간격을 엔터 두 번으로 넣거나, 표 대신 스페이스로 정렬하는 등 잘못된 서식 사용 습관이 누적된 문서는 변환 시 더 크게 깨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무에서 권장하는 변환 전략

1. 변환 전 서식 정리 필수

  • 불필요한 스타일 제거: 사용자 정의 스타일, 중첩 서식 등은 제거
  • 단락 정리: 문단 간 여백은 엔터가 아닌 [문단 간격] 기능으로 적용
  • 글머리표는 기본 제공 스타일로 통일

2. 글꼴은 기본 서체로 통일

  • 한글 전용 서체 대신 Word 호환 글꼴(예: 맑은 고딕, 바탕, Arial 등)을 미리 사용하면 글자 깨짐 방지

3. 표는 꼭 사전 점검

  • 병합 셀이 많은 표는 가능하면 Word에서 새로 구성하거나, CSV 형태로 중간 저장 후 재삽입

4. 그림, 도형은 이미지로 고정

  • 도형, 텍스트 상자 등은 변환 시 이미지로 바꿔 저장하면 위치 오류를 방지할 수 있음

5. 변환 후에는 반드시 Word에서 후편집

  • 변환만 하고 끝내지 말고, Word에서 전체 문서를 다시 스캔하면서 어긋난 서식을 재정렬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클라우드 기반 대체 도구 비교

한글 프로그램 외에도 다음과 같은 도구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한컴독스: 웹 기반 한글 편집, 간단한 변환 시 유리
  • 알PDF: PDF로 우선 저장 후 Word 변환
  • Google Docs: 복잡한 서식에는 미약하나 단순 문서 변환에 적절

단, 어떤 도구를 사용하더라도 후편집은 필수이며, 보안 이슈가 있는 문서는 로컬 환경에서 처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역방향 변환: Word → HWP 시 주의사항

역으로 Word에서 한글로 변환할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오류가 자주 발생합니다:

  • 각주, 캡션, 표 스타일이 누락되거나 위치가 틀어짐
  • 워드의 스마트아트, 텍스트 상자 등이 한글에서 인식되지 않음

가능하면 문서 마무리 편집은 한쪽 형식 내에서 일관되게 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요약 및 결론

HWP → Word 변환 문제는 단순한 파일 형식 문제가 아니라, 문서 구조와 서식 습관 전반에 걸친 이슈입니다. 변환 기능 하나로 모든 것이 해결되지 않으며, 사전 준비와 사후 점검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